STUDY/회계 2

복습) 유상증자 무상증자 뭐가 다를까?

증자란 자본금의 증가를 말합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있어요. 유상증자하면 현금이 들어오거나 현물이 들어와서 자본금이 증가하는거죠. 반대로 무상증자는 현금, 현물이 들어오지 않아요. 자본 구성요소가 감소하면서 자본금이 증가하는 방식이에요. 자본금은 자본의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전 포스팅 참고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 거예요. 자본 분류 어떻게? 자본의 구분 :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증자 하면 회계처리 대변에는 무조건 자본금이 와요. ~ 주식 할증발행 회계처리 차변) 현금 80,000,000 / 대변) 자본금 50,000,000 주식발행초과금 30,000,000 ~ 주식 액면발행 회계처리 차변) 현금 50,000,000 / 대변) 자본금 50,000,000 ..

STUDY/회계 2021.04.15

복습) 자본 분류 증자 감자 기본개념

~ 자본 개념 자산 - 부채 = 순자산 ~ 자본 분류 *IFRS 기준서에 의한 분류체계 1. 납입자본 2. 이익잉여금 3. 기타자본구성요소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른 분류체계 (비상장 기업) 자본의 구성요소은 다음과 같다. 1. 자본금 2. 자본잉여금 3. 자본조정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5. 이익잉여금 보통 실무에서 일반기업회계기준을 많이 쓰기 때문에 시험에 더 자주 출제된다고 함. 상장회사마다 자본 분류가 다르다. 삼성, 현대 자본 분류 어떻게 되어 있는지 볼 것. 자본거래와 손익거래 나눌 수 있다. 자본거래는 주주와의 거래이고 손익거래는 주주 외의 자와 거래이다. Q. 자기주식은 자본금에 포함이냐? A. ㅇㅇ 자본금은 발행주식수 x 1주당 액면금액이다. 자기주식은 발행주식에 포함되어 있음. Q. ..

STUDY/회계 2021.04.14
728x90